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제68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한국사에 대한 지식과 이해도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교육부가 주관하고 한국사학진흥재단이 시행하는 국가공인 자격증입니다. 오늘은 시험 일정과 접수방법, 시험일자, 기출 문제 푸는 법, 난이도와 합격률에 대해서 알려드리고자합니다. 이 시험은 1급부터 6급까지 있으며, 각급별로 시험 난이도와 합격 기준이 다릅니다. 이번에는 3급을 취득하기 위한 공부법과 팁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3급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중간 정도의 난이도로, 교사 임용시험과 공무원 시험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자격증입니다. 3급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시험 일정과 접수 방법

제68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2023년 12월 2일 토요일 오전 10시에 실시됩니다. 원서접수는 2023년 11월 6일 월요일부터 11월 13일 월요일까지이며, 추가접수는 11월 17일 금요일부터 11월 20일 월요일까지입니다. 지역별로 원서 접수 기간이 상이하기 때문에 아래 지역별 원서 접수 기간을 확인해주세요. 원서접수는 인터넷을 통해 가능합니다. 자세한 접수 일정과 방법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접수 시에는 사진 등록과 시험장 선택이 필요하므로, 미리 준비해두시기 바랍니다.
인천, 경기 | 11.6. (월) 10:00 ~ 11.7. (화) 09:00 | 11.17. (금) 10:00 ~ 11.20. (월) 18:00 |
대전, 세종, 광주, 충남, 충북, 전남, 전북 | 11.7. (화) 10:00 ~ 11.8. (수) 09:00 | |
부산, 대구, 울산, 경남, 경북 | 11.8. (수) 10:00 ~ 11.9. (목) 09:00 | |
서울, 강원, 제주 | 11.9. (목) 10:00 ~ 11.10. (금) 09:00 | |
전지역 | 11.10. (금) 10:00 ~ 11.13. (월) 18:00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시험범위와 구성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은 총 50문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험 시간은 60분입니다. 시험 범위는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의 한국사와 테마 한국사로, 각각 40문제와 10문제가 출제됩니다. 시험 문제는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뉩니다.
- 객관식 문제: 4지선다형으로, 한 문제당 2점입니다.
- 도표 문제: 그림이나 표를 보고 문제를 푸는 유형으로, 객관식 문제와 동일하게 4지선다형입니다.
- 유물 문제: 유물이나 문화재의 사진을 보고 문제를 푸는 유형으로, 객관식 문제와 동일하게 4지선다형입니다.
- 단답형 문제: 주어진 문제에 대해 간단하게 답을 쓰는 유형으로, 한 문제당 2점입니다.
- 서술형 문제: 주어진 문제에 대해 자세하게 서술하는 유형으로, 한 문제당 4점입니다.
시험 문제는 각 단원별로 균등하게 출제되며, 테마 한국사는 한국사와 관련된 특정한 주제에 대해 다룹니다. 예를 들어, 한국의 종교, 한국의 문화유산, 한국의 독립운동 등이 테마 한국사의 예입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공부법 기출문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과 팁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 인강을 통한 학습: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암기가 중요한 시험이지만, 단순히 암기만으로는 효과가 떨어집니다. 역사의 흐름과 구조를 이해하고, 중요한 키워드와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인강을 통해 전문가의 설명을 듣는 것이 좋습니다. 인강은 유료 인강과 무료 인강이 있으며, 무료 인강의 경우에는 최태성 선생님의 이투스 강의나 임용고시 전문 카페 임준모의 한능검 무료 강의등을 추천합니다. 인강을 들을 때는 강의 내용을 필기하고, 복습하며, 기출 문제로 점검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좋습니다.
- 기출 문제 풀이: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기출 문제를 통해 출제 유형과 패턴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기출 문제는 책으로 구입할 수도 있고, 인터넷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도 있습니다. 기출 문제를 풀 때는 시간을 재지 않고, 정답률을 높이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출 문제를 풀고 나면, 자신이 틀린 문제나 헷갈리는 문제를 정리하고, 오답 노트를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오답 노트는 시험 전날에 복습하기 좋은 자료가 됩니다. 기출 문제는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 -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 www.comcbt.com 이 사이트에서 무료로 풀 수 있습니다.
- 키워드와 흐름 암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세부적인 내용보다는 큰 흐름과 핵심적인 키워드를 암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선사시대의 유물이나 문화의 특징, 고려시대의 왕권 강화 정책과 그 영향, 조선시대의 붕당 정치와 사화,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과 그 인물들, 현대사의 정치와 사회 변화 등을 암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암기할 때는 단순히 외우기보다는 연관성을 찾아서 외우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난이도와 합격률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한국사에 대한 지식과 이해도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교육부가 주관하고 한국사학진흥재단이 시행하는 국가공인 자격증입니다. 이 시험은 1급부터 6급까지 있으며, 각급별로 시험 난이도와 합격 기준이 다릅니다. 시험 난이도는 심화와 기본으로 나뉘며, 심화는 1, 2, 3급을, 기본은 4, 5, 6급을 응시할 수 있습니다. 시험 합격률은 매 회차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심화는 50% 이하, 기본은 60% 이상의 합격률을 보입니다. 최근에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활용도가 넓어지면서 응시자가 많아져, 시험 난이도가 높아지고 합격률이 낮아지는 추세입니다.
제 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합격률
예를 들어, 제 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심화에 해당하는 1급, 2급, 3급의 경우 전체 응시자 6만 9866명의 47.57%에 해당하는 3만 3236명이 합격했습니다. 1급 합격자는 9,239명으로 1급 합격률은 13.2%로 매우 낮았습니다. 2급 합격자는 1만 1336명으로 16.2%의 합격률을 기록했고 3급 합격자는 1만 2661명으로 18.1%의 합격률을 기록했습니다.
제 5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합격률
5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심화에 해당하는 1급, 2급, 3급의 경우 전체 응시자 9만 3221명의 56.7%에 해당하는 5만 2870명이 합격했습니다. 1급 합격자는 2만 1440명으로 1급 합격률은 23%로 상승했습니다. 2급 합격자는 1만 8950명으로 20.3%의 합격률을 기록했고 3급 합격자는 1만 2480명으로 13.4%의 합격률을 기록했습니다. 제 64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심화에 해당하는 1급, 2급, 3급의 경우 전체 응시자 8만 6339명의 48.66%에 해당하는 4만 2004명이 합격했습니다. 1급 합격자는 1만 503명으로 1급 합격률은 17.44%로 하락했습니다. 2급 합격자는 1만 6499명으로 19.11%의 합격률을 기록했고 3급 합격자는 1만 1002명으로 12.75%의 합격률을 기록했습니다.
이렇게 보면,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난이도와 합격률은 매 회차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특히 1급의 경우에는 매우 높은 난이도와 낮은 합격률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자신의 목표 등급에 맞는 난이도와 합격 기준을 잘 파악하고, 충분한 학습과 문제 풀이를 통해 시험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 도전하시는 모든 수험생 여러분께 응원의 마음을 전합니다.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원서 접수 바로가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원서접수 불가] 11.10.(금) 09:00 ~ 10:00
www.historyexam.go.kr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능 예비소집일 수능 자리 배치표 짝수형 홀수형 차이 (수험표 분실시 재발급 방법) (80) | 2023.11.15 |
---|---|
엔화 환율 급락 원인과 영향 엔화 예금 통장 추천 엔테크 알아보기 (75) | 2023.11.10 |
주차 어플 추천 top5 공영주차장 할인 방법과 혜택 안내 (81) | 2023.11.03 |
은행별 금리 10% 이상 고금리 적금 (이자높은 단기 적금 추천) (55) | 2023.11.01 |
전세보증보험 가입조건 비용 SGI HUG HF 보험료 계산방법 (feat.청구방법) (90) | 2023.10.31 |